•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정치

한일중 정상 "동북아 평화 공동책임"…韓日 "北비핵화"↔中 "역내 안정"

등록 2024.05.27 21:06 / 수정 2024.05.27 22:11

  •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앵커]
북한의 도발 움직임이 구체화하는 가운데, 한일중 3국은 38개 항의 공동선언문을 채택했습니다. 동북아 평화를 위한 공동책임도 언급했지만, 북핵과 미사일 도발에 대해서는 한일 두 나라와 중국 사이에 여전히 큰 간극이 있었습니다.

어떤 내용들에 합의했고, 남은 문제는 뭔지, 조성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윤석열 대통령과 일본 기시다 총리, 중국 리창 총리는 3국 협력체제의 복원과 정상화란 틀 안에서 정상과 장관급 회의를 다시 정례화하는 공동선언문을 채택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3국 협력의 제도화를 계속 추진하기로 하였습니다."

인적교류와 기후변화 대응을 비롯한 6대 분야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지만, 북한 문제를 놓고선 여전히 입장차를 보였습니다.

한일 두 나라는 '북한 비핵화'를 강조하며 '위성 발사' 예고에 비판 목소리를 낸 반면, 중국은 원론적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공동선언문에도 '한반도 비핵화'와 '납치자 문제 입장', '역내 평화와 안정'이 "'각각' 재강조됐다"고 적혔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납치 문제의 즉시 해결을 위해 양 정상께서 계속 지원해 주실 것을 요청드렸고…"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
"중국은 시종일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추진하는데 유지하고,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인 해결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북한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피한 중국은 "주변 당사국들이 모두 자제하고 사태 악화를 예방해야 한다"는 입장만 반복했습니다.

4년 5개월 만에 정상회의를 재개한 세 나라가 대화와 협력 체제를 복원했지만, 북핵 문제 해법을 비롯한 외교 문제에 있어선 입장 차를 확인하는데 그쳤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TV조선 조성호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