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번 초대형 산불에 인명 피해도 사상 최대로 일어났습니다. 재난 문자도 수차례 발송됐는데 왜 참사를 막지 못했는지 김주영기자와 따져보겠습니다. 김기자, 이번 산불 인명 피해가 커진 이유, 어떻게 봐야 합니까?
[기자]
네 우선, 확인된 사망자 대부분이 60-80대 고령층이었습니다. 경북 영덕군에서는 80대 노부부가 집 앞에서, 100세 여성은 자택에서 숨진채 발견됐습니다. 또 인근 요양원에서 차량을 타고 대피하다가 화염에 차가 폭발하면서 80대 3명이 사망하기도 했고요. 경북 청송에선 거동이 불편한 80대 여성과 70대 남성이 자택에서 사망하는 등 빠른 불길 속도에 이동이 불편한 노인들의 대피가 쉽지 않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고령층에 피해가 집중된 이유가 있을까요?
[기자]
이번에 사망자가 스무명 넘게 나온 경북지역은 65세 이상 인구가 24.7%로, 전국에서 고령 인구 비율이 두번째로 높은 지역입니다. 게다가 방통위 조사에 따르면 연령이 높아질수록 재난상황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비율이 뚝 떨어져서 70대 이상에서는 32%에 불과합니다. 고령의 주민들에게 실시간 정보가 제대로 닿지 못하면서 피해가 커졌단 지적이 나옵니다.
[앵커]
재난 문자가 오락가락하면서 혼선 있었단 지적도 있죠?
네, 그렇습니다. 예를 들어 영덕군에서는 주민들에게 바닷가 쪽 2개면으로 이동하라는 문자가 발송됐는데, 대피장소로 알린 지역까지 불과 30분 만에 불이 번지면서 포항 방향으로 다시 이동하라고 안내가 바뀌었습니다. 전국 산불 현황은 산림청이 실시간으로 종합하고 있는데, 산림청에는 대피령 발송 권한이 없고, 지자체가 소방 상황 등 현장을 파악해 대피 문자를 보내는 구조라서 곳곳에서 빠른 대처를 하지 못했단 지적이 나옵니다.
[앵커]
대피 문자를 받아도 어디로 가라는 안내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은 경우도 많았다면서요?
[기자]
네 안동시가 보낸 재난문자를 보시면 '즉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라'고 되어있고 대피처가 써있지 않았습니다. 국립 재난안전연구원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과거 산불 당시, 구체적인 대피장소가 명시된 상태로 재난문자가 보내졌을 때에만 실제 유동인구가 늘어나면서 대피 효과가 있었다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산불 관측시스템과 주민 데이터 등을 연동해 정확한 대피 경로를 제시하는 체계적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성용 / 국립경국대 산림과학과 교수
"산불이 몇 시간 후에 어디에 도달한다, 이 시스템도 구축이 되어 있어요. 근데 그 자체를 어떤 R&D나 이런것들이 저는 안되고 있다고 지금 보고 있거든요. 그런 플랫폼을 만들어야죠."
[앵커]
고령층 사망 피해를 줄일 방법은 있습니까?
일본의 경우에는 재해 경보를 5단계로 나눠서 이미 3단계에 들어서면 고령자, 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먼저 대피시킵니다. 헛걸음이 되더라도 사전에 대피하자는 차원인건데요. 전문가들은 우리도 산불이나 대형 재해를 대비해 민방위처럼 사전 훈련을 실시하고 취약계층이 함께 사용할 이동수단을 마련해야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정창삼 / 인덕대 스마트방재학과 교수
"어디로 대피해야 될지 방법은 사전에 고지 드리고 훈련을 통해서 뭔가를 하거나, 지역사회에서 버스 같은 것들을 이용해서 훈련이 필요했는데 그런 것들을 한 적은 없죠."
[앵커]
체계적인 대응 방법을 만들어서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었으면 합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