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프로그램

설정

  • 알림 수신 설정

  • 마케팅 수신 여부 설정

  • 모바일 네트워크 설정

    동영상 시청 시 모바일 데이터 사용을 허용합니다.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통화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이용 약관

APP버전

3.0.1

스크랩 되었습니다.

바로가기

알림

수신된 알림이 없습니다.

경제전체

초중고 사교육비 1인당 月 41만원…"역대 사상 최대"

  • 등록: 2023.03.07 13:03

  • 수정: 2023.03.07 14:02

박은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이 7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은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이 7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장기화로 지난해 사교육비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22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사교육비 총액은 26조 원으로 전년보다 10.8% 증가했다.

2021년 최다 기록인 23조 4천억 원을 새롭게 경신하며 사교육비 총액이 2년 연속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1만원으로 전년(36만 7000원) 대비 11.8% 오르며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지난해 초·중·고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78.3%로 2007년 통계 작성 이래 최다 기록을 세웠다. 초등학교가 85.2%로 전년 대비 3.2%p 올랐고, 중학교도 76.2%로 전년 대비 3%p, 고등학교는 66%로 전년 보다 1.4%p 더 올랐다.

학생들이 쓴 사교육비 비중은 영어, 수학, 예체능, 국어 순으로 많았다. 사교육 참여 학생만을 놓고 봐도 영어, 수학, 예체능, 국어 순으로 지출을 많이 했다.

한편 사교육 지출 관련해서 소득 양극화도 심화된 것으로 드러났다. 월소득 800만원 이상 가구의 사교육비는 64만8000원이지만 월 200만원 미만의 사교육비는 12만 4000원으로 5.23배 정도 차이가 났다.

해당 소득별 사교육비 격차가 5.1배였던 전년(2021년)보다 격차가 더 벌어진 것이다.

성적도 상위권일수록 사교육비 지출도 많았다. 성적 상위 10% 이내 학생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59만원이지만, 하위 20% 이내 학생은 32만 3000원에 불과했다.

이같은 사교육비 증가에는 소비자물가 상승 폭이 커진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거기에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대면 수업에 차질을 빚으면서 대거 사교육으로 몰린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V조선 뉴스는
여러분과 함께 나아갑니다.

소중한 제보와 함께 가치 있는 뉴스를 만들겠습니다.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