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프로그램

설정

  • 알림 수신 설정

  • 마케팅 수신 여부 설정

  • 모바일 네트워크 설정

    동영상 시청 시 모바일 데이터 사용을 허용합니다.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통화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이용 약관

APP버전

3.0.1

스크랩 되었습니다.

바로가기

알림

수신된 알림이 없습니다.

정치전체

[뉴스쇼 판] 김지하 시인 "정치가 아니라 치정(癡情)"

  • 등록: 2014.09.04 21:34

  • 수정: 2014.09.04 22:19

Loadingbar

[앵커]
독재 저항의 상징 김지하 시인이 TV조선에 출연해서 답답한 세월호 정국에 대해 그야말로 엄하게 꾸짖었습니다. 김지하 시인은 우리 정치가  한 마디로 "철딱서니가 없다"고 일침을 가했습니다.

김지하 선생의 거침없는 쓴소리, 이루라 기자입니다.

[앵커]
세월호 참사가 난 지 142일째. 이후 우리 정치는, "무생산국회" "방탄국회" "길거리정치" 등 웃지못할 수식어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오늘, TV조선 '장성민의 시사탱크'에 출연한 김지하 시인은, 현 정국을 한 마디로 정리했습니다.

김지하 / 시인, 건국대 석좌교수 (장성민 시사탱크 中)
"너희들 정치는 정치가 아니라 치정(癡情)이다."

잘 다스려 안정을 도모한다는 '치정'이 아닌, 향락에 빠져 난잡해진 '치정'에 비유한 겁니다.

김지하 / 시인, 건국대 석좌교수
"오늘보니 다 천막 정치더라고요.좋은 국회 놔두고 천막으로 들어가요?"

라며 야당의 장외투쟁을 비난하는가 하면, 세월호 사건 자체보다, 이를 악용하려는 분위기를 경계하기도 합니다.

김지하 / 시인, 건국대 석좌교수
"긴 세월동안 가장 중요한 정책 한 건도 통과 못시키고 배척하면서 유병언은 폭로로, 세월호는 센티멘털리즘으로..."

1960~70년대 국가 부정부패에 맞서 시 '오적'을 썼던 김지하 시인.

세월호에 발목잡혀 대한민국이 미래를 향해 나아가지 못하는 현 상황을 두고, '오적'의 시인답게 거친 표현을 휘두릅니다.

김지하 /시인, 건국대 석좌교수
"(장성민) 그런 표현 쓰지 마시고, 항문 이런 식으로...방송에서는 표준어를 쓰셔야..."
"항문에서 꽃이라도 핍니까? (현 상황의) 더러운 것은 더럽게 이야기해야 합니다."

시골 한 구석에서 민심을 물었던 그는 오히려 부끄러워졌다고 말합니다. 80대 시골 노인의 눈에 보이는 우리 정치는 바로 이것이었습니다.

김지하 / 시인, 건국대 석좌교수
"철딱서니 좀 들었으면 합니다. 철!

TV조선 이루랍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V조선 뉴스는
여러분과 함께 나아갑니다.

소중한 제보와 함께 가치 있는 뉴스를 만들겠습니다.

제보하기